ruby 를 본격적으로 공부해볼려고 하는 찰나에 좋은 글이 있어,
블로그에 기록해뒀다가, 앞으로 틈틈히 들춰보려고 참고하여 글 써본다.
원문 :
* 문제가 될시 삭제 합니다.
변수
변수의 종류는 변수명의 앞에 public, private 등의 접근제어자를 붙이는것이 아니라,
변수명에 특징을 가지게 하므로 식별하게 된다.
로컬변수
사용되는 영역이 변수가 선언된 블록에 한정되는 변수다.
변수명은 소문자 알파벳 혹은 _ 로 시작된다.
로컬변수 x 에 100을 대입시키려면
x = 100
글로벌 변수
사용되는 영역이 프로그램 전체에 적용되는 변수다.
변수명 앞에 $ 을 넣는다.
글로벌 변수 $x 에 100 을 대입할 경우는
$x = 100
클래스 변수
클래스변수는 클래스 정의할때 정의 되며, 클래스의 특이메소드나 인스턴스 메소드로 부터 참조, 대입할수 있다.
클래스, 서브클래스등으로부터 참조 가능
클래스변수의 값은 클래스의 모든 인스턴스에서 공유할수있다.
변수명 앞에 @@ 을 붙인다.
인스턴스 변수
인스턴스내에 보존하고 있는 변수.
변수명 앞에 @ 을 붙인다.
인스턴스 변수 @x 에 100을 대입할경우에는
@x = 100
정수
대입은 원칙적으로는 한번.
2회 이상 대입하는경우는 경고가 출력된다.
변수명 맨앞자를 알파벳 대문자로 선언한다.
관례로는 정수는 모두 대문자로 선언한다.
(* 내가 본 코드들 자바, PHP, C#, Ruby 다 이랫음)
정수 CONST에 4를 대입할경우
CONST = 4
참고
http://qiita.com/cabbage/items/238ebd7b91f83e99681e
No Comments